트럼프의 '큰 아름다운 법안'

거부할 수 없는 법안
지난 수년간 시장 트렌드와 정책 신호를 분석해왔지만, 최근엔 인간의 행동에 더 주목하게 됐다. 트럼프의 최신 입법 프로젝트인 ‘큰 아름다운 법안’. 공식적으로는 보수주의 통치의 전환점이라지만, 실상은 세금 인하와 복지 축소, 총기법 개정 등이 어울어진 난잡한 혼합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진전된다.
공화당도 두려워하는 이유
사실 대부분 공화당 의원들은 이 법안을 좋아하지 않는다. 메디케이드 축소나 식량 지원 프로그램 자르기에 부담을 느끼며, 특히 유권자들이 지지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부는 ‘재정적으로 무책임하다’고 비판하고, 2026년 선거에서 자신들의 의석을 잃을까 걱정한다.
하지만 반발 대신 침묵하거나, 사적인 대화에서는 ‘동의했다’고 말한다.
제보된 한 상원 청문회에서 한 의원은 대통령과 한 통화 후 투표를 바꿨다고 밝혔다. “그분은 제 원래 계획을 좋아하셨어요.” 그런데 그날 저녁에는 다른 의원에게 완전히 반대되는 말을 했다.
이건 정치가 아니다. 감정적 충격이다.
예산 조작이 모든 것을 바꾼다
숫자 이야기를 해보자—이 모든 일的背后엔 진짜 동력 있다.
c공화당은 언론에서 말하는 ‘예산 속임수’를 사용하고 있다. 어떻게? 2017년 일시적 세제 인하를 영구적이라고 처리해 새로운 지출로 보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연장해도 추가 예산으로 계산되지 않는다.
마치 월별 차량 렌탈을 이제는 생활 방식으로 간주하는 것처럼 말이다. 더 고급 차량 하나 더 렌탈해도 죄책감 없이 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수학은 오류지만 정치적으로는 뛰어나다. 실제 적자 없음? 유권자들이 ‘새로운 지출 없음’이라는 기사만 보면 만족할 것이다.
권력 vs 정책—그 의미는?
내가 궁금한 건 이 법안이 통과될지가 아니라 왜 통과되는가이다.
c핵심은 보수주의나 재정 책임성 승리가 아니라, 책임 없는 권력에 있다.
c토론은 사라지고 모든 투표는 충성심 표명으로 바뀐다.
c누구나 피해자들이 생길 거란 걸 안다—그래서라도 ‘사장님께서 원하시니까’ 찬성한다.
c내게 이것은 민주주의가 아니다. 지시 중심 governance가 법률로 위장된 것이다.
역사로부터 배우고 미래에 희망을?
c과거 실패들에서 배울 점은 분명하다—같은 전략은 버 Biden 시절에도 사용됐지만 결과가 달랐다. 왜냐하면 민주당은 내부 결속력과 공공선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c희망적으로 생각하자면 언젠가는 누군가 이렇게 말할 날이 올 것이다: “네, 고통스럽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정의보다 표를 얻기 위한 두려움이나 특혜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그 순간이 올 것이라 믿지만, 그때까지 나는 계속 주목하며 법률뿐 아니라 리더십 스타일도 분석할 것입니다: 권력은 사람들을 위해 있는 것인지, 아니면 스스로 유지하기 위한 것인지요.
NeonLantern77
인기 댓글 (4)

Bayangkan ini: Trump ngeluarin tagihan cantik biar rakyat jadi kaya… tapi yang kaya itu duitnya bukan dari pajak, tapi dari mimpi di Capitol! Medicaid dipotong kayak nasi goreng tanpa kecap—dan semua itu disebut “fiscal responsibility”? Saya cuma nanya: siapa yang bayar? Tapi yang bayar malah kita-kita! Jangan lupa: di 2026 nanti, mobil listrik bakal jadi simbol kekuasaan. Eh… kalau kamu beli rumah baru? Jangan lupa kasih komentar: “Mau beli apa hari ini?”

Трамп снова в деле — и на этот раз даже не пытается скрыть: это не закон, а командный приказ в формате билля.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программы режут как пельмени, а налоговые уступки превращают в вечность — будто квартплата стала стандартом жизни.
Республиканцы молчат… или лгут на камеру. А потом звонят президенту и говорят: «Слушаю вас!»
Вот это да — демократия с фичей «подчинение по голосу».
Кто следующий? Кто решит: «Нет, мы не будем платить за халатность»?
Кто-нибудь? Пишите в комментарии — пусть хотя бы один человек будет честным!


